본문 바로가기

ASES2012/news & issue

[페어] 아시아 사회적기업들을 전주에서 만났어요 아시아 사회적기업들을 전주에서 만났어요 아시아 사회적기업들과 전주 한옥마을에서 만났다? 생각해보지 못했던 일이 일어났습니다.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대만, 일본 등 아시아 각국에서 활약하고 있는 사회적기업들을 한옥 한 칸마다 오붓하게 만나볼 수 있었어요. 100년 가까운 역사를 자랑하는 청명헌을 비롯, 풍남헌, 동락원, 한옥생활체험관 등에 환경, 푸드&비즈니스, 사회복지, 디자인, 문화, 교육, 여행, 공정무역 부문으로 나뉘어 전시하고 네트워크하는 자리가 꾸려졌습니다. SELF Asia with ASES에 참여한 국내 사회적기업을 포함해 약 57개 기업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자리였답니다. 공정무역을 통해 들여온 물품도 보고, 체험행사, 상담, 전시공간까지 있어서 한옥이 다채로운 문화의 장으로.. 더보기
[투어 및 체험활동] 우리 다시 만나요 모두들, 고마웠어요 다시 만나요! 전날까지의 모든 행사 일정을 마치고 이제는 가벼운 마음으로 완주 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로 향했답니다. 폐교가 된 학교를 개조한 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는 지역 공동체와 지역의 사회적기업 등이 함께 사용하고 있었어요. 한쪽 벽에는 아이들의 그림으로 전체가 장식되어 있고, 공방 등에서 만들어온 도자기 작품들로 비즈니스센터라기보다는 미술관에 들어온 느낌이 들었습니다. 센터장을 맡고 계신 임경수 상임이사께서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영어로 동시 통역을 하면서 진행됐습니다. 2010년에 귀농해 파머컬쳐학교를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센터가 하는 일, 커뮤니티비즈니스의 선순환 구조, 커뮤니티비즈니스의 주요 아아템인 로컬푸드, 공동체 운영, 마을 단위 비즈니스에 대해 쉽게 설명해주셨습니.. 더보기
[워크숍3] 협력하고 싶은 파트너를 발견하셨다면 더 많은 이야기와 함께 잊지못할 인연을 만들어보세요! 협력하고 싶은 파트너를 발견하셨다면 더 많은 이야기와 함께 전주에서 잊지 못할 인연을 만들어 보세요~ 폐회식에서 이번 행사의 공식적인 폐막이 선포되었지만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자리를 뜨지 못하고 삼삼오오 모여 못다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바쁘게 진행되는 일정에 아시아 각국의 사회적기업가로 또 청년으로서의 고민을 좀더 여유있게 나누고 싶은 아쉬움이 큰 탓이리라. 이들의 이런 마음을 예상한 프로그램이 바로 4일 오후 5:30부터 교동아트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워크숍 3 - Love story in Jeonju다. 국내외 사회적기업가 및 청년 캠프 참가자 150여명이 참가한 워크숍3은 전시와 공연이 이루어지는 교동아트스튜디오의 공간적 특성을 한껏 살려 아름다운 정원에 미리 준비된 테이블에 자유롭게 앉아 진행되었.. 더보기
[폐회식] 이 자리가 아시아 차원에서의 새로운 협력을 위한 출발점임을 선언합니다! 이 자리가 아시아 차원에서의 새로운 협력을 위한 출발점임을 선언합니다! - 2012 SELF Asia with ASES 4일 폐막 아시아 각국의 사회적기업 현황을 살펴보고, 사회적기업 리더들의 논의와 협력의 장을 마련할 수 있었던 2012 SELF Asia with ASES의 폐막을 알리는 폐회식이 4일(수) 오후 4시 한옥마을 내 전주소리문화관에서 진행되었다. 주요 참가자들이 모인 가운데 6월 30일부터 3일간 진행된 ASES 청년 사전캠프를 시작으로 5일간의 아시아 사회적기업가들의 축제의 장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영상을 상영하는 것으로 폐회식을 시작되었다. ▲ 폐회식 영상 보기 성공적인 대회의 마무리를 축하하며 정헌율 전라북도 행정부지사와 김재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의 인사말이 이어졌다. 정헌율 .. 더보기
[워크숍2] 반짝반짝 빛나는 10팀의 아시아 스타를 소개합니다! [워크숍2 ] 반짝반짝 빛나는 10개의 아시아 스타를 소개합니다! 2012 SELF Asia with ASES에서는 아시아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실제 연대와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형태의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개발도상국 아동 빈곤 및 사회 문제를 사회적기업을 통해 풀어가기위한 함께일하는재단의 사업 공모를 설명하는 워크숍1-Smile Together Partnership에 이어 소셜 임팩트 사업 혹은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는 (예비)기업가의 사업 프로모션의 장인 워크숍2-Asian SE Star가 4일 오후 최명희문학관에서 열렸다. Asian SE Star는 벤처투자자와 기업CSR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미리 선정한 10개 사회적기업의 기업가들이 자신의 사업을 프리젠테이션하면서 사업을 홍.. 더보기
[워크숍1] 개발도상국과 함께 웃을 수 있는 방법! 스마일투게더 프로젝트에 함께 하세요 개발도상국과 함께 웃을 수 있는 방법! 스마일투게더 프로젝트에 함께 하세요~ 2012 SELF Asia with ASES의 둘째날은 아시아 사회적기업의 상생을 위한 지원과 프로모션을 위한 워크숍이 열렸다. 전날 포럼에서 논의된 아시아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연대에 관한 토론이 실제 지원과 네트워킹으로 연결되어 사회적기업이 붐업(Boom-up)할 수 있도록 하였다. 7월 4일(수) 오전 9시 최명희 문학관에서 진행된 첫번째 워크숍은 Smile Together Partnership 2012로 함께일하는재단에서 2011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해외지원사업 스마일투게더파트너십의 2012년 공모사업의 설명회였다. 스마일투게더파트너십은 개발도상국의 아동 빈곤 및 사회 문제를 사회적기업의 설립 및 운영을 통해 해.. 더보기
[갈라디너] 현대와 전통이 공존하는 환상적인 전주에서 벌어진 신명나는 한판! 한국적인 맛과 멋을 자랑하는 "전주"를 찾아주신 아시아 각국의 사회적기업가와 참석자 분들을 모두 환영합니다! 종합토론으로 포럼을 마친 후에는 전주전통문화관으로 이동해 현대와 전통이 공존하는 지역색을 물씬 풍기는 환상적인 전주와 한국의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는 갈라디너가 이어졌습니다. 맛깔스런 저녁 식사에 이어 야외 공연장에서는 신명나는 한판이 벌어졌습니다. 행사 시작 후 가는 빗줄기를 흩날린 하늘이지만 아시아 각국에서 한국을 찾아온 손님들을 생각해선지 금방 개었습니다. ▲ 한국어와 영어, 2개국어로 진행된 행사 이날 전라북도 문화예술사회적기업 두 팀이 준비한 열정적인 무대가 펼쳐졌습니다. 첫번째 팀은 전통 타악과 현대 타악을 접목한 뉴타악 퍼포먼스를 펼친 타악연희원 '아퀴'! ▲ 모두를 들뜨게 한 신나는.. 더보기
[포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아시아가 연대하는 법 [세션3]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아시아가 연대하는 법 사회적기업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민관의 파트너십 구축 방안과 지역 재생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역할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세번째 세션에서는 구체적으로 아시아 각국의 연대 활성화 방안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특히 이번 세션에서는 쉽게 접하기 힘든 중국에서의 사회적기업 활성화에 대한 최근의 움직임을 살펴볼 수 있어 아시아 연대를 위한 중국과의 협력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일 수 있었다. 공석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의 진행으로 체인지퓨전의 대표를 맡고 있는 슈닛 슈레스타가 첫번째 발제자로 나섰다. 그는 "현재 아시아 지역의 16개 사회적기업 지원단체가 모여 교류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네트워크 아시아(Social Enterpr.. 더보기
[포럼] 사회적기업, 지역 재생의 원동력이 되다 [세션2] 사회적기업, 지역 재생의 원동력이 되다 지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실제로 지역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 할 수 있을까. SELF Asia with ASES 2012 포럼의 두번째 세션에서는 지역재생과 사회적기업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이어졌다. 원도연 원광대학교 교수의 진행으로 필리핀, 한국의 전라북도, 일본에서 사회적기업을 통해 지역을 살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이 각각의 사례와 시사점을 발표했다. 첫번째로는 로스비 모히카 필리핀 카부야오 아시안 브리지 2011 프로젝트 코디네이터가 발표자로 나서 한국 정부 또한 공적개발원조를 하고있는 필리핀 카부야오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그녀는 현대화를 위한 개발 정책으로 인해 강제로 카부야오의 재정작.. 더보기
[포럼]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혁신적인 파트너십을 모색하다 [세션1]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혁신적인 파트너십을 모색하다 SELF Asia with ASES 2012 포럼의 첫번째 세션에서는 아시아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아시아 각국의 민관 거버넌스 구축 사례를 살펴보고 혁신적인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첫번째 세션은 남부원 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총장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첫번째 발표자로 나선 야마다 키요시 일본 도카이대 부총장은 먼저 2010년부터 산업과 시장 위주로 시작된 일본의 사회적기업 활동, 사회적비즈니스가 2011년 일본의 자연재난을 통해 사회적 비즈니스의 구조를 인식하고 동북부 지역 복원에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흐름을 언급하면서, 초기 단계인 일본의 사회적 비즈니스 흐름을 소개했다. 무하마드 유누스 교수와.. 더보기